본문 바로가기

역사

고려시대 역사 12) 교육 제도와 학문 발전에 대하여

한국 역사에 있어서 교육 제도와 학문이 크게 발전한 시기를 정해보라고 하면, 단연코 고려 시대 때라고 얘기할 수 있을 정도로 당시 고려 시대의 교육 제도와 학문은 매우 발전하였습니다.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고려는 학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이를 위해 다양한 교육 제도를 마련하며 학문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교육 제도와 학문 발전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려의 교육 제도

고려의 교육 제도는 크게 관학과 사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관학은 국자감과 향교가 있으며, 사학은 사학 12도라는 교육 기관이 있는데, 이러한 교육 기관들은 주로 관리 양성과 학문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있습니다. 

1. 국자감

국자감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중앙 교육 기관으로, 10세기 후반인 992년 성종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국자감은 유학을 중심으로 한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주요 과목으로는 유교 경전과 역사, 문학 등이었습니다. 또한, 국자감은 여러 하위 학부로 나뉘었으며, 각 학부는 신분에 따라 학생을 선발하였는데, 주로 귀족 자제와 고위 관리의 자녀들을 교육하였습니다. 국자감의 학부에는 국자학, 태학, 사문학 등으로 나뉘어 가르쳤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국가의 행정과 법률 그리고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습니다.
국자감의 교육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유교 경전, 역사, 문학, 정치, 법률 등의 과목을 교육하였으며, 주료 유학의 기본 경전인 사서삼경을 중심으로 교육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와 사회의 윤리를 배웠으며, 국자감을 졸업하면 관리로서의 진출이 용이하여 당시 고려 사회에서 중요한 신분 상승의 수단으로 여겨졌습니다.

2. 향교

향교는 지방에 설치된 교육 기관으로, 국자감의 하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향교는 주로 지방 관청과 연계하여 운영이 되었는데, 지방의 유력한 가문 자제들을 교육하였습니다. 향교 또한 국자감과 마찬가지로 유학 교육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지방의 인재 양성을 위하여 중앙 정부와 지방 행정에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지방 관료와 학생들의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향교의 교육 과정은 국자감과 유사하였으며, 유교 경전과 더불어 역사, 지리, 산술 등을 학습하였습니다. 향교에서 졸업하면 과거 시험을 통해 관직에 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지방에서도 인재를 발굴하고 지방 사회의 교육 수준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3. 서원과 사숙

서원과 사숙은 사립 교육 기관으로, 개인이나 지역 사회에서 설립 또는 학자나 지방 유력자들이 설립하여 운영하였습니다. 서원은 고려 후기에 발달한 사립 교육 기관으로, 주로 유학자들의 학문 연구와 교육을 목적으로 만든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사숙은 개인적으로 운영하며, 특정 학문이나 유학을 깊이 있게 교육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서원과 사숙은 국자감이나 향교와 달리 공식적인 교육 기관은 아니었으나, 학문적 자유를 추구하며 인재 양성에 많은 기여를 하였습니다.
또한, 서원과 사숙은 유교 경전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을 자유롭게 연구하고 교육하는 기관으로, 이를 통해 학생의 능력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며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고려의 학문 발전

고려 시대에는 다양한 학문이 발전하고 유학이 중심이 된 시기가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학문의 발전은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미쳤으며, 특히 유학, 불교, 과학 기술 등이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후 조선 시대 학문발전의 토대가 되었는데, 고려 시대 학문 발전의 주요 특징을 다음과 같습니다.

1. 유학

당시 고려 시대에는 교육과 학문이 유학을 중심으로 크게 발전하였습니다. 유학은 관료 양성과 국가 운영의 이념적 기초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국자감과 향교 그리고 서원에서도 주요 교육 내용으로 다루어졌습니다. 유학은 관료 양성과 국가 운영의 이념적 기초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유학 경전인 사서삼경이 학문 연구의 중심이었습니다. 고려는 유학을 통해 관료들의 도덕성과 능력을 향상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앙 집권적 국가 체제를 강화하였습니다.
고려 중기 이후에는 유학자들이 정치와 학문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을 하며 국정 운영에 참여하였으며, 유학적 이념을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고려 말기에 중국 원나라에서 성리학이 전래되면서 새로운 학문적 경향이 나타났으나, 성리학은 조선 시대에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2. 불교

고려 시대는 불교가 국교로서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불교는 고려의 학문과 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단순한 종교적 기능을 넘어 학문적, 철학적, 문화적 영역에서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고려의 불교 학자들은 불교 경전의 연구와 해석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불교는 사회적 안정과 복지의 기능을 수행하였는데, 사찰은 교육과 구호 활동의 중심지로서, 사회 약자를 돌보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또한 불교는 미술과 예술의 발전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불상, 탑, 사찰 건축은 고려 불교의 신앙과 미적 감각을 잘 보여주었으며, 범패와 같은 불교 음악도 발달하여 중요한 문화적 성과로 평가받았습니다.

3. 과학기술

고려 시대는 다양한 분야에서 과학 기술이 발전한 시기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금속활자와 청자가 있는데, 금속활자는 세계 최초로 발명하여 인쇄술을 혁신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식가 정보의 확산이 크게 촉진되었습니다. 청자는 고려의 도자기 기술이 최고조로 달한 결과로, 그 아름다움과 기술적 완성도는 세계적으로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이 시기의 과학 기술 발전은 인쇄술뿐만 아니라 농업, 천문학 등에서도 두드러지며, 고려 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습니다. 천문학의 경우 천체의 움직임을 연구하여 정밀한 역법을 기록하고 연구하여 농업과 국가 운영에 필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의학의 경우 다양한 의학서가 편찬되면서, 질병의 진단과 치료법이 널리 보급되며 이를 통해 의학지식이 체계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농업의 경우 다양한 농업 기술과 도구들이 발전하면서 논농사와 밭농사의 기술이 개선되었고,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많은 기여를 하였습니다.

마무리

이렇게 고려 시대의 교육 제도와 학문 발전은 고려 사회의 안정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후에 조선 시대에도 많은 발전에 기여를 하였는데, 오늘날에도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많은 교훈과 영감을 제공하며, 한국 교육과 학문의 기초를 이루고 있습니다.